5월, 2023의 게시물 표시

왜가리 Ardea cinerea Grey Heron

이미지
왜가리 Ardea cinerea Grey Heron  왜가리는 전체적으로 회색이다. 뒷머리에 긴 검은색 댕기가 있다. 앞목에 검은색 세로 줄무늬가 있다. 다리와 목이 길다. 중대백로보다 약간 크고 대백로보다 작다.  어린새 : 전체적으로 엷은 재색이다. 윗부리가 검은색이고 아랫부리는 연한 주황색이다. 머리는 엷은 재색이며 성조와 달리 뒷머리에 긴 댕기깃이 없으며 어깨의 검은 무늬가 뚜렷하지 않다. - 야생조류필드가이드 2023.5.30 강원 영월 2023.5.16 제주 추자도 2023.5.12 제주 추자도 2023.5.12 제주 추자도 2023.4.20 제주 하도

멧새 Emberiza cioides Meadow Bunting

이미지
멧새 Emberiza cioides Meadow Bunting  멧새는 암수 비슷하다. 다양한 깃 패턴을 보인다. 수컷의 가슴색은 계절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암컷은 귀깃, 눈앞, 턱선의 색과 농도에서 개체 차이가 있다.  수컷 여름깃 : 몸윗면에는 검은 줄무늬가 흩어져 있다. 앞가슴은 적갈색이 진하다. 배는 엷은 밤색이다. 아종 ciopsis 와 달리 윗가슴에 흑갈색 반점이 거의 없다. 암컷 여름깃 : 수컷 겨울깃과 비슷하다. 수컷보다 색이 엷다. 눈앞, 귀깃, 턱선이 수컷보다 흐리다. 몸아랫면도 흐리다. 정수리에 가는 흑갈색 줄무늬가 흩어져 있다. 수컷 겨울깃 : 암컷 여름깃과 비슷하다. 가슴의 적갈색은 여름깃보다 색이 연하다. 머리는 적갈색이며 머리중앙선은 회백색, 눈앞과 턱선은 검은색이다. 암컷 겨울깃 : 눈앞과 턱선은 흑갈색 또는 엷은 갈색이며, 가슴은 수컷보다 색이 엷다. -- 야생조류필드가이드 2023.5.30 강원 영월 2023.5.2 제주 저지

딱새 Phoenicurus auroreus Daurian Redstart

이미지
 딱새 Phoenicurus auroreus Daurian Redstart 암수 모두 날개에 흰 반점이 있다. 수컷 : 머리에서 뒷목까지 회백색, 얼굴, 턱밑, 멱이 검은색, 둘째날개깃 기부가 폭 넓은 흰색, 중앙꼬리깃은 검은색이며 나머지는 주황색이다. 암컷 : 전체적으로 연한 갈색이며 몸아랫면 색이 약간 엷다. 날개의 흰 반점이 수컷보다 작다. 허리와 위꼬리덮깃이 주황색이다. 수컷 겨울깃 : 회백색 머리는 녹슨 듯한 색이 섞여 있으며, 검은색 깃 끝은 흐린 주황색이다. 어린새 :  몸윗면은 진한 흑갈색이며 깃 가장자리에 비늘무늬가 있다. 허리는 주황색이다. 몸아랫면은 때 묻은 듯한 흰색이며 멱에서 아랫배까지 흑갈색 비늘무늬가 진하다. 수컷은 둘째날개깃 기부에 폭 넓은 흰색 반점이 있으며, 암컷은 작은 흰색 반점이 있다. 1회 겨울깃 수컷 : 날개깃과 첫째날개덮깃이 흑갈색이다. 셋째날개깃은 성조와 같은 검은색이지만, 깃 끝은 폭 좁게 때 묻은 듯한 흰색이다. -- 야생조류필드가이드 2023.5.30 강원 영월 2023.5.30 강원 영월

노랑할미새 Motacilla cinerea Grey Wagtail

이미지
 노랑할미새 Motacilla cinerea Grey Wagtail 몸윗면은 회색이다. 날개깃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며 셋째날개깃 가장자리가 흰색이다. 다리는 살구색으로 다른 할미새류의 검은색과 차이가 있다. 수컷 여름깃 : 눈썹선과 턱선은 흰색으로 뚜렷하다. 멱은 검은색, 몸아랫면은 노란색이며 옆구리는 흰색이다. 암컷 : 수컷과 비슷하지만 멱이 흰색이며 몸아랫면의 노란색이 더 약하다. 드물게 멱이 수컷과 비슷한 검은색 바탕에 흰색 깃이 셖여 있는 개체도 있다. 수컷 겨울깃 : 암컷과 같이 멱이 흰색으로 변해 암수 구별이 힘들다. 눈썹선은 황갈색 기운이 있으며, 폭이 좁다. 간혹 멱에 불명확한 검은 띠가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어린새 : 암수 모두 멱이 흰색이어서 암수 구별이 불가능하다. 아랫부리 기부는 살구색, 날개덮깃 끝은 폭 넓은 담황색, 가슴옆에 흑갈색 얼룩이 있다. -- 야생조류필드가이드 2023.5.30 강원 영월 2023.5.30 강원 영월

검은딱새 Saxicola stejnegeri Amur Stonechat

이미지
검은딱새 Saxicola stejnegeri Amur Stonechat  검은딱새는 다른 종과 혼동이 없다. 암컷은 연령 구분이 매우 어렵다. 수컷 : 머리, 등, 꼬리가 검은색, 가슴은 등색, 옆목과 아랫배는 흰색, 날 때 어깨와 허리에 흰 무늬가 크게 보인다. 암컷 : 몸윗면은 회갈색이며 등에 흑갈색 줄무늬가 있다. 몸 안쪽 가운데날개덮깃 일부와 큰날개덮깃 일부가 흰색, 턱밑과 멱은 흰색, 가슴과 옆구리는 엷은 주황색, 허리와 위꼬리덮깃은 줄무늬가 없는 엷은 주황색이다. 성조 수컷 겨울깃 : 암컷과 비슷하지만 검은색이 강하다. 눈앞, 귀깃, 턱밑, 멱이 검은색이며, 검은색 가장자리는 주황색이다. 옆목은 흐린 흰색, 몸 바깥쪽 큰날개덮깃 가장자리는 주황색이며 안쪽 깃은 흰색이다. 둘째날개깃 가장자리가 주황색, 허리는 흰색이며 위꼬리덮깃 끝은 주황색이다(일부 위꼬리덮깃에 검은색 축반이 있는 경우도 있다). 1회 겨울깃 수컷 : 암컷 여름깃과 매우 비슷하지만 눈앞, 뺨, 옆목에 검은색이 약하게 있다. 가슴의 등색이 암컷보다 짙다. 허리는 엷은 주황색이다. 1회 겨울깃 암컷 : 성조 암컷과 구별하기 어렵다. 가슴은 엷은 등황색, 날개깃은 검은색이며 깃 가장자리가 담황색, 허리는 엷은 주황색이다. -- 야생조류필드가이드 2023.5.30 강원 영월 2023.4.9 제주 마라도

개개비 Acrocephalus orientalis Oriental Reed Warbler

이미지
 개개비 Acrocephalus orientalis Oriental Reed Warbler 보통 수컷이 더 크다. 몸윗면은 올리브 갈색으로 휘파람새와 비슷하지만 크기가 더 크고 지저귐이 다르다. 때 묻은 듯한 흰 눈썹선은 눈 앞쪽이 보다 선명하다. 다리는 어두운 청회색이다. 앞가슴에 뚜렷하지 않은 가는 흑갈색 줄무늬가 있다. 꼬리는 약간 길며 끝에 가늘고 흰 무늬가 있다(깃의 마모에 의해 보이지 않는 경우도 많다). 1회 겨울깃 : 성조와 구별이 어렵다. 몸윗면이 성조보다 엷고 황갈색이 많다. 날개덮깃, 둘째날개깃, 셋째날개깃 가장자리를 따라 황갈색 기운이 성조보다 강하다. 몸아랫면은 성조보다 황갈색이 더 많다. -- 야생조류필드가이드 2023.5.30 강원 영월

폐휴대폰은 친환경적으로 처리하는 나눔폰으로

이미지
  접수 되었습니다. 접수확인 메뉴를 통해서 입고현황, 기부금 영수증 발급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접수확인을 하시려면 접수번호와 입력하신 비밀번호를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접수번호 : 029967 며칠 전에 골로 간 구글 픽셀 6a 를 어떻게 처분(?)할까 고민하다가 폐휴대폰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는 나눔폰으로 보냈다. 개인정보를 확실하게 제거하고 휴대폰을 분해해서 자원을 재활용한다고 한다. 기부금영수증도 발행한다고 해서 신청했다. 혹시라도 나처럼 처분이 필요한 휴대폰이 있는 분들은 나눔폰 을 이용해 보면 좋겠다.

제주 곶자왈도립공원 탐방기

이미지
제주도에는 곶자왈이라는 곳이 있다. 어느 특정한 곳을 말하는 것은 아니고 나무, 덩굴식물, 암석 등이 뒤섞여 수풀처럼 어수선하게 된 곳을 말하는 제주 방언이다. 돌아 다니다 보면 제주 곳곳에 곶자왈이 퍼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중 서귀포시 대정읍에는 가장 규모가 크고 울창한 곶자왈도립공원 이 있으니 제주도 뜨기 전에 안가볼 수가 없지. 대정읍 영어마을 근처에 있다. 여기 사는 분들은 좋겠다~ 가까운 데 이런게 있으니 게다가 도민은 입장료가 공짜. 산소 농도부터 다르다. 심호흡~ 흐으으으읍~ 국가지점번호가 나나로 시작한다~ 뽀~ 가장 먼저 만나는 코스 이름이 테우리길. 지역 주민들이 목장을 이용하기 위해 만들었던 길이라고 함. 말태우리? 전망대 점심거리로 준비해간 편의점 크림빵, 지난 번 아보타도에 이어 이번에는 브레디크 우유생크림빵 우유생크림빵 반갈샷, 오우~ 생크림 양 장난 아님. 생크림 맛있긴 한데.. 약간 느끼.. 신평리 마을공동목장 관리를 위해 만들었다는 오찬이길 많이는 아니지만 아주 가끔 이런 벤치를 만날 수 있다. 거의 대부분 누가 앉아 있는데 여긴 없네~ 새들의 노래소리만 듣어도 충분한 힐링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되지빠귀 , 박새 , 오목눈이 , 직박구리 등을 만났다. 알고 보니 여기에 팔색조가 온다네? 한여름에 한번 와봐야겠다. 지역주민들이 농사를 짓기 위해 만들었다는 한수기길 오찬이길과 빌레길, 한수기길이 만나는 곳에는 이렇게 넓은 공터와 많은 벤치가 놓여져 있다. 풍혈이다. 얼굴을 갖다 대 봤지만 기대와 달리 바람은 나오지 않는다. 곶자왈 = 제주의 허파, 그럼 심장은 어디? 원형 그대로 곶자왈 특이지형인 길, 가시낭길. 가장 울창하기도 하고 인적이 드물기도 해서 좋았던 길. 약 1.1km 정도 들어가면 더 이상 갈 수 없는 막다른 길(Dead End)가 나온다. 넘어가고 싶은 충동이... 음주금지 ㅡ.ㅡ; 가운데 지름길처럼 보이는 빌레길 빼고 모든 코스 완주. 점심 먹고, 제자리에서 가만히 새 구경하는 시간 빼고 오로지 움직인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Brown-eared Bulbul

이미지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Brown-eared Bulbul  직박구리는 다른 종과 쉽게 구별된다. 전체적으로 회갈색이며 귀깃에 갈색 반점이 있다. 가슴과 배는 회색이며 흰 반점이 흩어져 있다. 어린새 : 부리 기부가 연한 노란색이다. 몸깃과 날개깃은 회갈색보다는 연한 적갈색으로 보인다. 흰배지빠귀와 비슷하지만 꼬리가 보다 길다. 날개덮깃 끝은 색이 연하다. 1회 겨울깃 : 가운데날개덮깃 끝에 때 묻은 듯한 흰 반점이 있으며, 일부 날개깃은 갈색이다. -- 야생조류필드가이드 2025.5.25 제주 곶자왈도립공원 2023.5.8 제주 서귀포 고근산 2023.5.8 제주 서귀포 고근산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Long-tailed Tit

이미지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Long-tailed Tit 몸이 작고 꼬리가 상대적으로 길다. 정수리는 흰색이며 폭넓은 검은색 눈선이 있다. 눈테는 노란색이다. 가슴에 불명확한 흑갈색 얼룩이 있다. 몸아랫면은 흰색에 엷은 분홍색이 섞여 있다. 셋째날개깃 바깥 우면이 폭넓은 흰색이다. 어린새 : 몸윗면에 분홍빛이 약하며, 성조의 검은 부분이 흑갈색이다. 날개깃의 흰 부분이 성조보다 적다. 꼬리가 성조보다 짧다. 눈테가 붉은색이다. 아종 : 지리적으로 17 또는 19아종으로 분류한다. 국내에서는 3아종이 서식한다. 오목눈이(magsus)는 한반도, 대마도에 분포하고, 제주오목눈이(trivigatus)는 일본 혼슈, 제주도에 분포하며, 흰머리오목눈이(caudatus)는 유럽에서 캄차카에 이르는 지역, 남쪽으로 몽골 북부, 아물, 우수리, 중국 북부, 사할린, 일본 홋카이도에 분포한다. 흰머리오목눈이는 매우 드물게 불규칙적으로 찾아오는 겨울 철새다. 머리와 목이 완전희 흰색, 가슴에 흑갈색 얼룩무늬가 없다. 옆구리의 분홍색이 오목눈이보다 흐리다. -- 야생조류필드가이드 2023.5.25 제주 곶자왈도립공원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Grey-backed Thrush

이미지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Grey-backed Thrush 되지빠귀 수컷은 다른 종과 혼동이 없다. 날 때 보이는 아랫날개덮깃은 등황색이다. 수컷 : 머리를 포함한 몸윗면은 균일한 청회색, 목과 앞가슴은 엷은 회색이다. 가슴옆과 옆구리는 등황색, 배 중앙에서 아래꼬리덮깃까지 흰색, 부리는 엷은 노란색이다. 암컷 : 몸윗면은 수컷과 거의 같은 균일한 청회색, 검은색 턱선이 뚜렷하다. 앞가슴은 엷은 회색이며, 멱, 가슴, 옆구리 윗부분에 검은 반점이 흩어져 있다. 가슴옆과 옆구리는 등황색이다. 1회 겨울깃 수컷 : 성조 암컷과 매우 비슷하다. 앞가슴은 엷은 회색이며 둥그스름한(또는 뭉개진 듯한 삼각형) 검은 반점이 흩어져 있다. 일부 큰날개덮깃 끝에 흰 반점이 명확하다(봄철에는 흰 반점이 작다). 1회 겨울깃 암컷 : 몸윗면은 회갈색, 멱에서 앞가슴까지 흰색이며, 멱에 가는 줄무늬가 흩어져 있고 가슴에 큰 삼각형 같은 검은 줄무늬가 흩어져 있다. 일부 큰날개덮깃 끝에 흰 반점이 명확하다(봄철에는 흰 반점이 작다). -- 야생조류필드가이드 2023.5.25 제주 곶자왈도립공원 2023.5.25 제주 곶자왈도립공원 2023.5.25 제주 곶자왈도립공원 2023.5.25 제주 곶자왈도립공원 2023.5.25 제주 곶자왈도립공원 2023.5.25 제주 곶자왈도립공원 2023.5.25 제주 곶자왈도립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