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혹 유튜브에 게시한 콘텐츠에 댓글이 막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유튜브 정책이 하도 자주 바뀌어서 왜그런지는 정확치는 않은데요, 이런 경우 아래 방법으로 해당 콘텐츠의 댓글이 막힌 것을 풀어 줄 수 있습니다. https://studio.youtube.com/ 로그인 메뉴 - 콘텐츠 채널에서 콘텐츠 검색 해당 콘텐츠 - 세 부정보 화면 아래로 스크롤하여 ' 자세히 보기 ' 화면 가장 아래쪽의 <댓글 공개 상태> 확인 후 ' 모든 댓글 허용 '으로 변경
매빅2 줌에 사용할 마이크로 SD카드를 구매했는데 지금 보니 잘못 구매했네요. 세부 사양을 꼼꼼히 확인했어야 하는데 그냥 저렴한 제품으로 주문하다 보니까 이런 실수를 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구매한 샌디스크 울트라 microSDXC UHS-I Card는 초당 80MB까지 읽기가 가능한데 상세스펙에 4K(UHD) 촬영이 없는 거에요. 그래서 왜 그런가 확인해 봤더니 이 제품보다 더 빠른 제품이 있더라구요. 바로 샌디스크 익스트림 프로 V30 A2라는 제품인데요. 익스트림 프로 상세스펙에는 4K(UHD) 동영상 촬영 기능이 있는 겁니다. 그렇다면 샌디스크 울트라와 익스트림 프로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 확인해 봤습니다. 샌디스크 울트라 : 메모리카드 / 스마트기기용 / micro SDXC / 128GB / TLC / CLASS10 / 전송속도(읽기:80MB/s) / UHS-I(U1) / 충격보호 / 생활방수 샌디스크 익스트림 프로 : 메모리카드 / 스마트기기용 / 동영상촬영용 / micro SDXC / 128GB / CLASS10 / 전송속도(읽기:170MB/s,쓰기:90MB/s) / UHS-I(U3) / 4K(UHD)촬영 / 충격보호 / 생활방수 / 복구프로그램 / 고사양앱구동(A1) / V30 / RescuePRO소프트웨어지원 이 두 제품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속도죠. 샌디스크 울트라는 읽기 속도만 표기되어 있고 쓰기 속도는 표기가 되어 있지 않은데 상품의견에 올라온 후기를 보면 쓰기 속도가 약 30~40MB/s로 나온다고 하니까 샌디스크 울트라는 읽기 80, 쓰기 40, 샌디스크 익스트림 프로는 읽기 170, 쓰기 90으로 샌디스크 울트라와 샌디스크 익스트림 프로는 읽기와 쓰기 속도가 거의 2배 이상 차이가 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4K(UHD) 동영상 촬영을 주로 한다면 되도록이면 샌디스크 익스트림 프로를 구매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결론 : 레노버 P11 Pro 2021(Lenovo TB-J716F)에서도 넷플릭스 고화질 감상 가능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레노버 XiaoxinPad Pro 2021(Lenovo TB-J716F)을 구매했다. Qoo10에서 보호필름과 케이스겸거치대 포함 33만원대( 물건 어제 받았는데 지금 다시 보니 알리에서 25만원대에 판매중 ㅠㅠ 나중에 다시 보니 상품 사라짐, 휴~) 장점 막강한 가성비(스냅드래곤 870, 6GB+128GB, 최대 1TB 마이크로 SD카드 장착 가능) 6W(1.5W*4) 돌비 지원 JBL 스피커 11.5" 2.5K(2560*1600) 90Hz OLED 스크린 8600mAh 대용량 배터리 단점 글로벌 롬 X, 당분간 중국어 난무한 ZUI(Zooming User Interface) 13으로 사용 제한적 구글플레이 사용(중국 국가코드) 국내 AS 불가 이 태블릿을 구매한 건 오로지 넷플릭스 감상 . 내가 최근 신체 활동량이 많은 일을 하다 보니 쉬면서 영화 한편 보는 것이 낙이 되었음. 물론 그전에도 영화 감상이 취미였지만 더 격력하게 영화를 감상하고 싶어짐. 영화 감상용 태블릿으로 애플, 삼성 등 여러 제품이 물망에 올랐는데 이 제품 구매 후기 보니까 가성비 최강으로 중국 내수용이지만 넷플릭스 고화질 감상 가능이라고 해서 냅다 지름신 발동~(역시 판단력 흐려지는 밤 10시 이후에 쇼핑 하면 안됨) 설정 - 검색 - ####5993# - 국가코드 CN(중국)으로 나옴 설정 - 검색 - ####6030# - 국가코드 변경 기능X 이 제품은 글로벌 롬이 아직 적용되지 않은 중국 내수용 모델이기 때문에 국가 코드 변경도 불가능 하고 구글플레이로 사용할 수있는 앱이 제한적 이다. 따라서 넷플릭스는 apkpure 등에서 제공하는 APK로 설치해야 한다. 시스템 업데이트(13.1.560)하면 구글 플레이에서 넷플릭스 설치 가능하다. 한글 입력은 MoreLocale 2 등으로 적용하는 반글화가 아닌 구글 키보드(GBoard) 설치로 불편함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