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에 하지 않으면 섭섭하지

오늘이 24절기 중 낮이 가장 길다는 하지라는데 보아 하니 24절기가 그냥 막 나열된 것이 아니라 일정한 패턴이 있음을 발견했다. (나만 몰랐던겨?)

일단 24절기는 봄, 여름, 가을, 겨울 각 계절별로 6개씩 이루어져 있다.(4*6=24) 그리고 각 계절의 첫번째 절기는 들입자(入)를 쓴다. 그래서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이 각 계절의 시작을 알린다.

그리고 각 계절이 가장 무르익었을 때의 절기는 우리가 가장 많이 들어왔던 춘분, 하지, 추분, 동지이다. 이제 각 계절의 시작 절기와 중간 절기 사이에 두개씩 집어 넣으면 다음과 같다.



입춘(立春) 우수(雨水) 경칩(驚蟄) 춘분(春分) 청명(淸明) 곡우(穀雨)


  • 우수 : 눈이 비가 되어 내리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됨

  • 경칩 : 각종 초목이 싹이 트고 겨울잠을 자던 동물이 깨어남

  • 청명 : 차음 하늘이 맑아짐

  • 곡우 : 봄비가 자주 내리고 곡식이 풍성해짐



여름



입하(立夏) 소만(小滿) 망종(芒種) 하지(夏至) 소서(小暑) 대서(大暑)


  • 소만 : 식물이 잘 자라고 여름 기운이 들기 시작

  • 망종 : 벼나 보리 등 수염이 있는 곡식의 씨앗을 뿌리기 좋은 때

  • 소서 : 작은 더위로 장마가 시작

  • 대서 : 큰 더위로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더위 시작



가을



입추(立秋) 처서(處暑) 백로(白露) 추분(秋分) 한로(寒露) 상강(霜降)


  • 처서 : 여름이 지나 더위가 한풀 꺾임

  • 백로 : 농작물에 흰 이슬이 맺침

  • 한로 : 찬이슬이 맺힘

  • 상강 : 서리가 내림



겨울



입동(立冬)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 대한(大寒)


  • 소설 : 눈이 내리기 시작

  • 대설 : 많은 눈이 내림

  • 소한 : 작은 추위지만 실제로 더 춥다

  • 대한 : 큰 추위지만 실제로 소한보다 따뜻... 2016년엔 소한보다 더 추웠다능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갑자기 잘 되던 티맵(T-map) 내비게이션이 종료되는 경우 해결 방법

0바이트 파일 삭제하기

VLC Media Player 단축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