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칠선계곡 탐방기

지난 주말에 큰아들과 지리산 칠선계곡에 기다녀왔다. 칠선계곡은 일곱 선녀가 놀다 갔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란다.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은 설악산 천불동계곡, 제주도 탐라계곡과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3대 계곡으로 알려져 있다. 계곡길이가 9.7㎞나 되는데 경남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에서부터 지리산 최고봉 천왕봉까지 이어져 있다. 이전에는 자유스런 탐방객 출입이 허용되었으나 1997년 태풍 ‘사라’때 엄청난 폭우로 인해 심하게 훼손돼 1998년부터 생태계 회복을 위해 출입을 통제하기 시작했다. 사람의 출입이 통제되고 어느 정도 생태계가 회복되자 2004년부터 복원사업이 시작된 지리산 반달가슴곰들의 주요 서식지가 되기도 했다. 현재 칠선계곡 일대 124,000㎡의 면적이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전체 탐방로 9.7㎞ 중 추성리에서 비선담까지 4.3㎞는 전면 개방하고, 비선담에서 천왕봉까지 5.4㎞는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루 60명씩만 공단 직원 4명이 안내하는 탐방가이드제를 5월, 6월, 9월, 10월에만 시행하고 있다. 칠선계곡 탐방로는 계곡을 넘나들면서 이어지기 때문에 자칫 길을 잃기 쉽고, 10㎞에 가까운 탐방로를 걸을 수 있는 체력이 요구돼 초보자들은 탐방이 쉽지 않다. 출처 : 국립공원관리공단


칠선계곡 탐방예약 가이드제를 이용하여 신청했으며 나와 아들 포함하여 13명의 탐방객이 칠선계곡 3층폭포까지 다녀왔다. 오전 8시에 출발하여 12시쯤 3층폭포에서 점심식사하고 하산 하니 오후 3시가 좀 안되었다.
옥녀탕, 비선담, 청춘홀, 치마폭포, 칠선폭포, 대륙폭포, 삼층폭포 등을 가이드의 해설과 함께 만날 수 있으며 이름을 알 수 없는 수많은 폭포와 소도 눈을 즐겁게 한다. 이하 사진은 어떠한 보정도 하지 않은 아이폰 5S로 찍은 사진 그대로다.
image
탐방 시작하면서 찍은 칠선계곡의 밑자락이다.
image
image
출렁다리로 불리는 칠선교라는 다리다. 예전에 태풍으로 유실되어 다시 만들었다고 하는데 출렁거리는 다리 중간쯤에서 바라보는 연못이 장관이다.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하산하면서 비선담에 잠깐 발을 담그는데 물이 어찌나 찬지 1분을 견디기 힘들었다. 아들과 누가 더 오래 참나 내기 했는데 누가 이겼을까?
image
image
image
하산 중 예약하지 않은 일반 탐방객과 조우하여 가이드에게 관련법 위반으로 과태료를 부과되는 것을 직접 목격하였다. 모르고 그러셨는지 설마 걸리겠어 하는 마음으로 올라오셨는지 안타까웠다. 과태료 엄청 쎄다고 하는데...
image
image
청춘홀이라는 바위란다. 바위 아래 구멍이 꽤 큰데 산행 중 비가 오거나 하면 거기에서 비를 피했다 하는데 들어간 연인들이 비만 피하지는 않더라는 다소 19금 스러운 설명에 모두 웃음을 참지 못했다.
image
image
image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유튜브 댓글 사용 중지 푸는 방법

갑자기 잘 되던 티맵(T-map) 내비게이션이 종료되는 경우 해결 방법

샌디스크 울트라와 샌디스크 익스트림 프로의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