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생태도시 아바나의 탄생
다음 독서토론 책은 ' 생태도시 아바나의 탄생 '이다. 즐겨 가는 도서관에 책이 없어 희망도서 신청을 했다. 언제쯤 도착할런지. 일단 책 소개를 보자. 1990년대에 쿠바는 상상을 초월하는 경제붕괴에 직면했다. 소련 붕괴와 1959년 혁명 이후 계속되고 있는 미국의 경제봉쇄로 석유부터 일상용품에 이르기까지 물자를 공급받지 못하는 사태에 직면했던 것. 그러나 농업국인 쿠바는 국제분업 체계에 편입되었기 때문에 국내 식량 자급률이 40%밖에 되지 않았다.? 이런 위기상황에서 아바나 시민은 도시를 '경작'하기 시작했다. 농약이나 화학비료조차 없이 맨손으로 시작한 도시농업은 220만 명이 넘는 도시가 채소를 완전히 자급하는 데까지 발전했다. 반면 비슷한 시기에 북한은 임산부 40만 명이 영양실조에 걸려 아사지경에 몰렸을 정도. 쿠바의 변화는 에너지.교통.의료.교육.토지.녹화.NPO 등의 분야로 뻗어나가 환경친화적인 정책으로 유턴했다. 이제 쿠바는 탈(脫)석유문명을 꿈꾸는 생태주의자들이 주목하는 도시가 되었다. 생태도시 쿠바는, 우리 농가가 나아갈 길이'유기농업'에 있다는 주장을 확실히 예증한다. 쿠바라고 하는 나라, 아는 것이라곤 쿠바산 고급 씨가와 체게바라 정도인데?카요 라르고 델 수르라는 바닷가에 발 한번 담그면 소원이 없겠다.(출처 : 위키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