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wordpress) 설치하기
이 글은 독립 도메인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방법을 기술합니다. 더 자세한 설치와 관련된 정보는 이 글을 참조하세요.
- 도메인 등록
도메인이란 http://www.soondesign.co.kr 과 같이 방문객이 웹브라우저의 웹주소에 입력하는 웹상의 고유주소를 말합니다. 도메인은 인터넷의 주소이기 때문에 동일한 주소를 제3자가 소유할 수 없으며 개인이나 기업이 도메인등록 업체를 통해 년단위로 소유권을 구입해야 합니다. 이를 대행해 주는 업체로 호스트웨이, 통큰아이, 도레지, 가이바, 닷네임 등이 있습니다. - 웹호스팅 등록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운영하려면 웹서비스를 하는 서버(웹서버)가 있어야 하는데 웹서버는 개인용 컴퓨터와 달리 고가이고 초고속의 회선에 24시간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백업 및 유지보수를 하는데 시간적, 재정적 비용이 문제가 되므로 소규모 사업자나 개인에게 서버의 일부 공간을 임대하는 웹호스팅이 일반화 되었습니다. 이를 대행해주는 업체로는 카페24, 팀장닷컴 등이 있습니다. 보통 도메인 등록업체가 웹호스팅도 같이 하는 게 보통이지만 굳이 도메인등록 업체에 웹호스팅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 워드프레스 다운로드
워드프레스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최신의 워드프레스 설치 파일을 내려받습니다. 영문판이 꺼려진다면 한국어 페이지에서 한글판을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보통 zip 파일을 내려받아 압축을 풀고 ftp로 업로드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telnet이나 ssh로 작업하는 것이 익숙하신 분들은 tar.gz 로 압축한 파일을 내려받습니다. - 워드프레스 웹서버로 업로드
zip으로 내려받은 파일은 압축을 풀고 웹서버 루트 디렉토리에 업로드합니다. tar.gz로 압축된 파일은 그대로 업로드한 후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후 tar xvfz wordpress-*.tag.gz 명령어로 압축을 해제합니다. - 워드프레스 설치
설치파일이 웹서버에 업로드한 후 http://도메인/ 으로 접속하면 초기 설치 페이지가 열립니다. 블로그 이름과 유효한 이메일을 입력하고 다음 화면에서 Database명과 Database 사용자명, 암호 등을 입력합니다. - 워드프레스 설치 후 작업들
- 설정 ? 일반
- 블로그 제목 : 블로그 모든 화면에 적용되는 블로그 제목
- 태그라인 : 이 블로그가 어떤 블로그인지 설명해주는 문구, 블로그 제목 아래에 붙게 됩니다.
- 시간대 : ‘서울특별시’로 고정하거나 ‘UTC+9′로 지정합니다.
- 시작요일 : 사이드바에 달력을 배치하면 어느 요일을 시작할 것인지 지정합니다. 보통 ‘일요일’로 시작합니다.
- 설정 ? 쓰기
- 글쓰기 상자 크기 : 기본으로 10줄이 되어 있는데 실제로 글을 작성하다 보면 10줄은 너무 비좁습니다. 30-50줄로 바꿉니다.
- 표시 방식 : 바르지 않은 XHTML 자동으로 바로잡는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 설정 ? 토론
- “댓글이 보이기 전에 댓글을 쓴 사람이 예전에 댓글이 승인된 적이 있어야 합니다.”의 선택을 해제합니다. 악성 댓글이 달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인데 오히려 방문객의 댓글을 감소시키는 악효과가 있습니다. 악성댓글은 스팬 플러그인으로 막아도 충분합니다.
- 설정 ? 고유주소
- 일반 설정에서 ‘날짜와 이름’, ‘월과 이름’과 같이 글 제목이 들어간 고유 주소를 사용하면 검색엔진이 해당 글에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하여 SEO에 도움이 됩니다.
- 설정 ? 일반
정말 어렵네요^^;;;;
답글삭제더 알기쉽게 못써서 죄송합니다.
답글삭제어..;; 그런 의도로 쓴 건 아닙니다 ㅠ.ㅠ;;; 제가 이런 식
답글삭제으로 블로그를 만드는 건 처음이라 이해하기 힘들었을 뿐이
에요;;;
다시 한번 보니 제가 어렵게 써 놓은 것이 맞네요. 최대한 쉽게 쓰려고 하는데 막상 타이핑을 하다 보면 저런 식으로 제가 나중에 볼 노트식으로 써놓지 뭐에요.
답글삭제글연습이 필요하나봐요. 도움 말씀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