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호스팅 이용하지 않고 Google Apps 사용하기
순디자인은 이미 Google Apps의 메일, 캘린더, 문서, 채팅을 이용한 협업 도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유로로 제공되고 있는 Google Apps의 고급기능도 있지만 아직 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Google Apps의 무료기능만으로도 충분히 사무 통합을 이룰 수 있습니다.
그런데 Google Apps를 사용하는데 가장 걸림돌이 바로 메일입니다.
예를 들어 jungle@soondeisgn.co.kr 로 오는 메일을 Google Mail로 받으려면 네임서버에서 MX레코드가 메일서버를 지정해서 처리해 줘야 하는데 이 MX레코드 수정이 사실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웹호스팅 업체에 해당 MX레코드 수정을 의뢰해야 합니다.
그런데 티스토리를 2차 도메인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즉 웹호스팅을 이용하지 않고 DDNS를 이용할 경우도 Google Apps로 메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바로 DDNS의 MX 레코드 기능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DDNS서비스 중 DNSEver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DNSEver에서 도메인을 추가한 후 메일서버(MX)관리로 들어갑니다.
메일서버에 aspmx.l.google.com을 우선순위 10으로 입력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메일서버도 입력합니다.
alt1.aspmx.l.google.com 20
alt2.aspmx.l.goolge.com 30
aspmx2.googlemail.com 40
aspmx3.googlemail.com 50
aspmx4.googlemail.com 60
aspmx5.googlemail.com 70
이를 모두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MX레코드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Google Mail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caption id="" align="aligncenter" width="558" caption="Google Apps의 MX 레코드를 모두 입력한 모습"]
[/caption]
유로로 제공되고 있는 Google Apps의 고급기능도 있지만 아직 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Google Apps의 무료기능만으로도 충분히 사무 통합을 이룰 수 있습니다.
그런데 Google Apps를 사용하는데 가장 걸림돌이 바로 메일입니다.
예를 들어 jungle@soondeisgn.co.kr 로 오는 메일을 Google Mail로 받으려면 네임서버에서 MX레코드가 메일서버를 지정해서 처리해 줘야 하는데 이 MX레코드 수정이 사실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웹호스팅 업체에 해당 MX레코드 수정을 의뢰해야 합니다.
그런데 티스토리를 2차 도메인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즉 웹호스팅을 이용하지 않고 DDNS를 이용할 경우도 Google Apps로 메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바로 DDNS의 MX 레코드 기능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DDNS서비스 중 DNSEver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DNSEver에서 도메인을 추가한 후 메일서버(MX)관리로 들어갑니다.
메일서버에 aspmx.l.google.com을 우선순위 10으로 입력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메일서버도 입력합니다.
alt1.aspmx.l.google.com 20
alt2.aspmx.l.goolge.com 30
aspmx2.googlemail.com 40
aspmx3.googlemail.com 50
aspmx4.googlemail.com 60
aspmx5.googlemail.com 70
이를 모두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MX레코드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Google Mail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caption id="" align="aligncenter" width="558" caption="Google Apps의 MX 레코드를 모두 입력한 모습"]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