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후보는 매니페스토 참공약을 실천하기를
엊그제 선거공보를 받았습니다.
12명의 후보가 접수했지만 모든 후보의 선거공보가 들어있지는 않았습니다. 대통령도 돈이 있어야 해먹는다는 말이 다시금 떠오르지 않을 수 없네요.
지난 대선때는 TV토론도 하고 해서 후보들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장을 마련하였는데 이번 대선은 TV에서 합동토론회를 보긴 힘들 것 같습니다. TV에 나오면 안될 이유가 많은가보죠?
이런 상황에서 선거공보에만 매니페스토를 외치면 뭘 하겠습니까? 제발 TV에 모두 나와서 합동토론회나 한번 하시죠.


12명의 후보가 접수했지만 모든 후보의 선거공보가 들어있지는 않았습니다. 대통령도 돈이 있어야 해먹는다는 말이 다시금 떠오르지 않을 수 없네요.
지난 대선때는 TV토론도 하고 해서 후보들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장을 마련하였는데 이번 대선은 TV에서 합동토론회를 보긴 힘들 것 같습니다. TV에 나오면 안될 이유가 많은가보죠?
이런 상황에서 선거공보에만 매니페스토를 외치면 뭘 하겠습니까? 제발 TV에 모두 나와서 합동토론회나 한번 하시죠.
매니페스토(manifesto) : ‘증거(물)’
매니페스토(Manifesto)의 어원은 라틴어의 마니페스투스(manifestus)입니다. 당시에는 ‘증거’ 또는 ‘증거물’이란 의미로 쓰였습니다.
이
단어는 이탈리아어로 들어가 마니페스또(manifesto)가 되었는데, 그때는 ‘과거 행적을 설명하고, 미래 행동의 동기를 밝히는
공적인 선언’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같은 의미로 1644년 영어권 국가에 소개되었고, 이 단어를 오늘날 우리사회가 쓰고
있는 것입니다.
때
문에 매니페스토란 자신의 과거 행적을 솔직히 고백하고 앞으로의 구체적 실천 계획을 공적으로 밝히는 일이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출마자가 과거에 당을 여러 번 옮겨 다닌 ‘철새’ 정치인이었다면 그 불가피한 이유를 설명하고 앞으로는 그렇게 하지
않겠다고 공약한다든가, 과거에 어떤 비리 사건에 연루된 적이 있으면 그 경위를 밝히고 앞으로는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는 고백을
하고 정치인으로서의 앞으로의 계획을 구체적으로 공약하는 것이지요.
-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인용
작은놈이 권영길후보의 선거공보를 관심있게 보고 있네요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