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황 앞에서 연주하는 게 청년 안익태 소원이었나?
kabbala님의 댓글에 답글을 쓰려다가 정식으로 포스팅합니다.
얼마전 애국가와 관련된 글을 올리고 나서 kabbala님께서 중요하고도 의미심장한 댓글을 남겨주셨습니다.
안익태가 해방전에 일본 황실의 궁중음악인 에텐라쿠(越天樂, 하늘에서 온 음악)를 지휘하고 다녔는데 그 이야기가 해방 후엔 묘연히 사라졌다는 말씀입니다.
오마이뉴스에서도 관련기사를 찾을 수 있으며 kabbala님께서 말씀하신 '잃어버린 시간 1938~1944'에서도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애국가의 표절논란, 일본공관과의 관계, 아이리쉬타임즈에 말한 황제가 일본천황을 지칭한 것인지, 에텐라쿠 관련, 에텐라쿠 지휘당시 일본식 이름을 사용, 천황 앞에서 연주하는 것이 소원이라는 것 등에 관한 진실공방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작년까지 이와 관련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다가 잠시 주춤해진 것 같은데 좀 더 찾아봐야겠습니다.
하지만 친일 매국노가 해방 후에도 청산되지 않고 이 나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곳곳에서 기득권으로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이 마당에 이런 진실을 파헤치려는 것이 계란으로 바위치기는 아닌가 하는 쓸데없는(?) 생각도 해 봅니다.

▲ 1943년 8월18일 베를린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의 '한여름밤의 연주회' 프로그램. 지휘자 안익태씨가 자신의 작품 '에텐라쿠'를 지휘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한국식(Eaktai Ahn)이 아닌 일본식(EKITAI AHN)으로 이름이 표기되어 있다.
안익태가 해방전에 일본 황실의 궁중음악인 에텐라쿠(越天樂, 하늘에서 온 음악)를 지휘하고 다녔는데 그 이야기가 해방 후엔 묘연히 사라졌다는 말씀입니다.
오마이뉴스에서도 관련기사를 찾을 수 있으며 kabbala님께서 말씀하신 '잃어버린 시간 1938~1944'에서도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애국가의 표절논란, 일본공관과의 관계, 아이리쉬타임즈에 말한 황제가 일본천황을 지칭한 것인지, 에텐라쿠 관련, 에텐라쿠 지휘당시 일본식 이름을 사용, 천황 앞에서 연주하는 것이 소원이라는 것 등에 관한 진실공방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작년까지 이와 관련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다가 잠시 주춤해진 것 같은데 좀 더 찾아봐야겠습니다.
하지만 친일 매국노가 해방 후에도 청산되지 않고 이 나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곳곳에서 기득권으로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이 마당에 이런 진실을 파헤치려는 것이 계란으로 바위치기는 아닌가 하는 쓸데없는(?) 생각도 해 봅니다.
▲ 1943년 8월18일 베를린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의 '한여름밤의 연주회' 프로그램. 지휘자 안익태씨가 자신의 작품 '에텐라쿠'를 지휘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한국식(Eaktai Ahn)이 아닌 일본식(EKITAI AHN)으로 이름이 표기되어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