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가 뭔가요?
순디자인이 공식 홈페이지를 블로그로 전환한 뒤 "RSS가 뭔가요"라는 질문을 많이 받았습니다. problogger에서 힌트를 얻어 RSS에 관한 도움말을 작성합니다. 많이 부족합니다.
한
마디로 RSS는 즐겨찾는 수많은 웹사이트(블로그 포함)의 갱신된 정보를 배급하는 기술입니다. 예전(물론 지금도)에는 브라우저의
즐겨찾기나 북마크에 저장된 사이트를 일일이 방문하여 갱신된 내용이 없나 하고 살펴봐야 했던 것과 큰 차이가 있죠.
RSS가 모든 것을 바꿀 수 있습니다
특정 웹사이트가 새로 갱신된 내용을 언제든지 여러분에게 알릴 수 있을까요? 이것이 바로 RSS의 기능이자 목적입니다.
RSS에 대한 기술적인 내용은 위키백과에 나온 내용을 참조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RSS 리더 이용 - 각 사이트의 RSS 피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는 RSS 리더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RSS 리더로는 HanRSS, DaumRSS, Bloglines, Google Reader, My Yahoo 등과 같이 온라인 리더도 있고 컴퓨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연모, Fish 와 같은 RSS 리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외부 영업이나 이동이 잦은 스타일이라면 온라인 리더를 권하며, 집이나 사무실 등 한 곳에서 근무하는 스타일이라면 클라이언트가 더 적합할 것입니다.
웹RSS리더이든 클라이언트 RSS리더이든 구독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RSS Feed 주소를 일단 등록해줘야 새로 갱신되는 정보를 가져옵니다.
그렇다면 RSS Feed 정보는 어떻게 알 수 있느냐? 바로 해당 웹사이트에서 RSS Feed 아이콘으로 알려줄 수도 있고 브라우져의 주소 표시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blogger에서 이미지 가져옴)
바로 이런 아이콘들입니다. 웹사이트나 블로그에 이런 아이콘을 클릭하면 주소 표시줄에 RSS Feed 가 나타납니다. 이 링크를 복사해서 RSS 리더에 등록을 하면 되는 것이죠.
또
다른 방법은 웹브라우저(파이어폭스나 IE7)의 주소 표시줄에 위와 비슷한 아이콘을 볼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를 방문하면 주소
표시줄의 마지막 부분에 RSS Feed 아이콘이 보이는데 이것을 누르면 바로 RSS Feed 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웹사이트에서 RSS Feed 아이콘을 찾는 것보다 더 쉽게 RSS Feed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엇이든 첫단추 꿰기가 어렵습니다.
한겨레 같은 뉴스의 RSS Feed를 먼저 구독해 보시면 "아~ RSS가 이렇게 편리한 거였구나!" 하실 것입니다.
아직도 RSS Feed가 생소하여 예전 방식을 선호하신다면 이메일구독도 괜찮은 옵션입니다.
과연 RSS가 뭘까요?
한
마디로 RSS는 즐겨찾는 수많은 웹사이트(블로그 포함)의 갱신된 정보를 배급하는 기술입니다. 예전(물론 지금도)에는 브라우저의
즐겨찾기나 북마크에 저장된 사이트를 일일이 방문하여 갱신된 내용이 없나 하고 살펴봐야 했던 것과 큰 차이가 있죠.
즐겨찾기나 북마크의 문제점
- 북마크나 즐겨찾기에 등록된 사이트를 모두 방문하는 것은 엄청난(?) 일입니다. 안그래도 바빠 죽겠는데...
- 사이트가 많아질수록 새로운 정보를 모으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 즐겨찾기나 북마크를 열어보는 것을 깜박하면 새로운 정보를 놓칠 수 있습니다.
- 특정 사이트에 같은 내용이 오랫동안 갱신되지 않으면 자주 들어가보지 않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RSS가 모든 것을 바꿀 수 있습니다
특정 웹사이트가 새로 갱신된 내용을 언제든지 여러분에게 알릴 수 있을까요? 이것이 바로 RSS의 기능이자 목적입니다.
RSS에 대한 기술적인 내용은 위키백과에 나온 내용을 참조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럼 RSS는 어떻게 사용하죠?
RSS 리더 이용 - 각 사이트의 RSS 피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는 RSS 리더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RSS 리더로는 HanRSS, DaumRSS, Bloglines, Google Reader, My Yahoo 등과 같이 온라인 리더도 있고 컴퓨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연모, Fish 와 같은 RSS 리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외부 영업이나 이동이 잦은 스타일이라면 온라인 리더를 권하며, 집이나 사무실 등 한 곳에서 근무하는 스타일이라면 클라이언트가 더 적합할 것입니다.
웹RSS리더이든 클라이언트 RSS리더이든 구독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RSS Feed 주소를 일단 등록해줘야 새로 갱신되는 정보를 가져옵니다.
그렇다면 RSS Feed 정보는 어떻게 알 수 있느냐? 바로 해당 웹사이트에서 RSS Feed 아이콘으로 알려줄 수도 있고 브라우져의 주소 표시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런 아이콘들입니다. 웹사이트나 블로그에 이런 아이콘을 클릭하면 주소 표시줄에 RSS Feed 가 나타납니다. 이 링크를 복사해서 RSS 리더에 등록을 하면 되는 것이죠.
또
다른 방법은 웹브라우저(파이어폭스나 IE7)의 주소 표시줄에 위와 비슷한 아이콘을 볼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를 방문하면 주소
표시줄의 마지막 부분에 RSS Feed 아이콘이 보이는데 이것을 누르면 바로 RSS Feed 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웹사이트에서 RSS Feed 아이콘을 찾는 것보다 더 쉽게 RSS Feed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엇이든 첫단추 꿰기가 어렵습니다.
한겨레 같은 뉴스의 RSS Feed를 먼저 구독해 보시면 "아~ RSS가 이렇게 편리한 거였구나!" 하실 것입니다.
그래도 RSS를 사용하기 싫어요.
아직도 RSS Feed가 생소하여 예전 방식을 선호하신다면 이메일구독도 괜찮은 옵션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