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에 하는 놀이
민족 최대 명절인 추석(秋夕)에 하는 놀이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가마싸움
서당의 학동들이 모여서 가마를 만들어 대결을 하던 놀이로 같은 서당 혹은 다른 서당 학동들과 붙어서 승부를 가립니다. 이긴 편에서 당년에 등과가 나온다 하였습니다. 요즈음 초등학교 운동회때 자주 볼 수 있습니다. 강강술래
고대 부족사회의 공동축제 때 서로 손을 마주 잡고 추던 춤에서 유래한 것으로 남해안 일대에서 전승되어 온 민속놀이입니다. 주로 여성들이 하던 놀이로 목청이 좋은 여성이 앞소리를 메기면 나머지 사람들이 뒷소리를 받으면서 빙글빙글 돌아가며 춤을 추는 놀이입니다.- 반보기
추석이 지난 다음에 서로 만나고 싶은 사람들끼리 약속을 정해 만나는 것인데 시집간 여성들이 친정어머니와 만나거나 이웃 여인들이 서로 만나 한나절 회포를 푸는 것으로 중간지점(中路)에서 만나 회포를 다 풀지 못하고 반만 풀었다 해서 반보기란 이름이 붙여졌다 합니다. - 밭고랑기기
전라남도
진도에서 하는 놀이인데 부스럼을 막고 밭농사를 잘 되게 기원하는 의미로 추석 전날 저녁에 아이들이 발가벗고 밭에 나가서 자기 나이
수만큼 밭고랑을 기는 놀이입니다. - 소놀이
추석날 차례를 마치고 사람들이 농악대의 풍물과 함께 소모양의 형태를 하고 부자집이나 한 해 농사를 잘 지은 사람의 집을 찾아가 '소가 배가 고프니 구정물을 달라'고 하면서 춤과 노래를 하며 놀면 주인이 나와서 일행을 맞이하고 음식과 술로 대접합니다. 이렇게 신나게 놀고 또 다른 집으로 가서 놀고 해서 해가 질때까지 노는 놀이입니다. 소싸움
큰 우리를 만들어 가장 힘이 좋은 황소를 가리는 소싸움대회를 엽니다. 두 마리의 황소가 힘을 겨루다가 힘이 부쳐 밀리거나 부상당하면 지게 됩니다.- 씨름
우리나라 남자들의 전통 놀이로 현재 스포츠로도 발전했습니다. 샅바를 맨 두 명의 남자가 모래판 위에서 서로 기술을 걸어 넘어뜨리거나 밀어내면 이기는 놀이입니다. 최종 승자에게 황소를 상으로 주는 관례가 있습니다. 올게심니
추석을 전후해서 한 해 수확한 곡식들을 한줌 베어다가 기둥이나 대문 위에 걸어두는 것으로 놀이라기보다는 다음 해에 풍년이 들게 해 달라는 기원의 뜻으로 행해집니다.- 원놀이
서당 학동 중에서 공부를 잘하거나 똑똑한 학동을 뽑아 원님으로 삼고 나머지 학동들이 백성이 되어 원님께 모의 소를 올려 그 판결을 잘 해내면 지혜로운 원님으로 칭송받지만 해결을 못하면 서투른 원님으로 놀림을 받게 됩니다.
감사 저돔 이거보곰 숙제했어욤!!!!!!!
답글삭제잘하셨습니다.
답글삭제또 궁금한 거 있으면 질문하세요~
나두나두
답글삭제감사^^
답글삭제알러뷰 참잘읽었어요.
답글삭제잘했어요....숙제에 도움이 됬어요..........
답글삭제ㅋㅋ메롱 사실은 도움 안돘지롱
답글삭제ㄴㅁㅇ
답글삭제이거 보고 시험공부 제대로 함 (국어 모르는것 있어서-4학년)
답글삭제강강술래 할 때 부르는 놀이 뭐에요?(까먹음)3학년거하고
답글삭제5학년거 있는데
숙제에 도움 고맙
답글삭제숙제에 도움이 되었다니 기쁩니다.
답글삭제씨발 닥쳐
답글삭제닥치고나있지?
답글삭제안녕
답글삭제감사합니다!^^
답글삭제감사감사^^
답글삭제ㅋㅋㅋ
답글삭제마더퍼킹
답글삭제안녕하세요. 이것덕분에 숙제잘했음니다
답글삭제숙제를 열심히 하는 모범생이로군요.
답글삭제이고보고 숙제 끝냇네요 ㄳㅇ
답글삭제감사
답글삭제숙제 했삼
답글삭제숙제도움 됐음
답글삭제방문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답글삭제^^;
답글삭제감사해용~~~~~~~~
답글삭제감사합니당~~~~~~~~~
답글삭제숙제다했당
답글삭제